대구

검색
  • 0
닫기

빗길 교통사고 치사율 1.3배↑…"폭우엔 50% 감속해야"

0

- +

한국교통안전공단 제공한국교통안전공단 제공빗길 교통사고로 인한 치사율이 맑을 때보다 1.3배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최근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우천 시 교통사고 건수는 총 3만 5873건으로 사망자 수는 592명으로 집계됐다.

교통사고 치사율은 1.65(명/100건)로 맑음일 때 치사율 1.24(명/100건)보다 약 1.3배 높았다.

특히, 우천 시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화물차 교통사고 치사율은 6.94(명/100건)로 '맑음' 상태 치사율 1.24보다 5.6배 치솟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최근 3년간(2022~2024년) 노면상태가 '젖음/습기'일 때 치사율은 1.90(명/100건)으로 '건조'일 때 치사율 1.27(명/100건)보다 약 1.5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교통안전공단이 차종별 빗길 운전 위험성을 실험한 결과, 승용차의 빗길(젖은 노면) 제동거리(18.1m)는 마른 노면(9.9m)보다 최대 약 1.8배 증가했다. 화물차의 빗길 제동거리(24.3m)는 마른 노면(15.4m)보다 약 1.6배, 버스의 빗길 제동거리(28.9m)는 마른노면(17.3m)보다 약 1.7배 늘었다.

이런 탓에 공단은 빗길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 감속 운행 등 안전 수칙 준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세부적으로 ▲평소 대비 20% 감속, 폭우 시 50% 이상 감속 ▲차간거리 확보 ▲수막현상 예방을 위해 물이 깊게 고인 곳 피해 가기 ▲물이 고인 곳을 통과할 경우 저속으로 정지하지 않고 통과 ▲차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브레이크 나눠서 밟기 등 안전 수칙을 지켜야 한다.

정용식 이사장은 "집중호우로 주변 도로 위로 물이 차오르는 것을 감지하면 지하차도나 저지대, 교통신호가 많은 상습 정체 구간은 우회해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