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제공대구시는 미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지역 기업들의 통상 위기 극복을 위해 3일 오후 시청 산격청사에서 관련 기관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번 대책 회의는 미국 관세 부과 방침에 따라 지역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 부품업계의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관계기관의 협력 방안과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회의에서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가 앞으로 우리 지역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대구시와 관련 기관 간 연계 강화로 지역기업의 안정적 판로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대구정책연구원은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지역영향 분석과 현황에 대해 발표했고,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정부 차원의 정책 방향과 관련 업계 지원 방안을 소개했다.
또,대구상공회의소는 지역 자동차기업의 동향과 현실적 애로사항에 대해 설명했다.
수출 지원 전문 기관인 코트라는 관세대응 상담창구와 해외 무역관 헬프데스크 운영 등 다양한 현장 지원체제 운영 방안을 알렸다.
이를 통해 지역 기업의 미국 관세조치 대응력 제고에 나서는 등 각 기관별로 지역기업을 위한 자체적 대응 방안과 대구시와의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대구시는 대책회의에서 논의된 기관별 지원방안을 바탕으로 오는 8일과 9일 이틀동안 개최되는 '2025 원스톱기업지원박람회' 때 국가별·품목별 관세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 운영과 해외 OEM 파트너 발굴 및 대체공급선 발굴 조사 등 관세 대응 수출 지원대책 설명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적용되는 5월 초까지 기관별 대응책을 마련하고, '유관기관 통합 수출 설명회'를 개최하여 지역기업의 안정적 수출 판로 확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미 정부의 불안정한 관세정책으로 인해 지역기업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특히 대미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 자동차 산업의 경우 관련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다양한 수출 지원 방안을 마련토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대구 지역의 자동차산업 업종별 매출 비중을 보면 차체 및 의장(20.3%), 엔진 관련 부품(11.6%), 동력전달 부품(9.5%) 등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으로 이번에 시행되는 미국의 수입차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로 완성차에 대한 가격경쟁력이 약화되면 국내 조달부품 수출도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